본문 바로가기
일상

불멍, 물멍 멍때리기의 의외의 효과

by §♣♩ 2023. 5. 5.

멍 때리는 건 그저 시간 낭비에 불과할까? 멍 때리기 대회며, 요즘에는 캠핑에서 불멍이나 물멍을 하는 것 역시 유행이다. 멍 때리는 것의 의외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학창 시절 특히 수업 시간에 멍을 자주 때렸는데 선생님은 항상 멍 때리지 말고 집중하라는 말을 많이 하셨다. 그래서인지 멍 때리는 건 그냥 시간 낭비이고 해서는 안 되는 활동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하지만 멍 때리기는 뇌건강에 큰 도움을 준다.

 

멍 때릴 때 좋은 아이디어를 얻은 사람들

독자 역시도 멍 때릴 때 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 경험이 있을지도 모른다. 과거 역사를 봐도 멍을 때리고 있을 때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 사람들이 있다. 그 중 한 사람은 유레카라는 유명한 말을 외친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이다. 그는 왕으로부터 왕관이 정말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알아봐 달라는 의뢰를 받게 된다. 고민에 빠진 아르키메데스는 머리를 식히러 들어간 목욕탕에 넘치는 물을 보고 유레카를 외치게 된다. 또한 아이작 뉴턴은 사과나무 아래서 쉬는 도중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게 된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은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보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가면서,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다. 

 

디폴트 모네 네트워크란?

이렇게 멍하게 있을 때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이유는 멍 때리면서 뇌가 쉬고 있을 때 작동하는 특정한 부위가 있기 때문이다. 이 부위를 '디폴트 모네 네트워크 (Default Mode Network, DMN)' 라고 한다. DMN은 아무 생각을 하지 않을 때에나 잠을 잘 때 활성화가 되는데 이때 뇌가 초기화가 되면서 창의성과 특정수행능력이 향상된다. 실제로 일본의 한 대학 연구팀에서 뇌가 쉬고 있을 때 백색질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혈류의 흐름이 활발해지자 새로운 아이디어를 더 많이 낼 수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는 창의성을 높인다는 의미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인들에게 멍 때리기는 시간을 낭비하는 시간이 아니라 뇌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뇌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인 것이다. 요즘에는 지하철에서 핸드폰을 안 보고 멍 때리고 있는 사람을 보며 이상하다는 인식이 있을 만큼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빠져있는데 잠깐의 휴식 때 스마트폰을 내려두고 뇌를 쉬게 하는 건 어떨까?  또한 이번 주말 혹은 연휴에 캠핑을 가서 불멍이나 물멍을 즐기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