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 더부룩할 때 찾게 되는 소화제. 하지만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먹는 소화제도 달라져야 한다. 소화제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소화제를 많이 먹으면 효과가 떨어질까?
음식을 섭취한 후에 오랜 시간 동안 위에서 음식물이 소화가 되지 않는 것을 소화 불량이라고 한다. 소화 불량에는 식후 포만감, 명치통증, 속 쓰림, 구역, 오심 등이 있다. 이렇듯 소화 불량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먹은 음식의 종류나 증상에 따라 소화제도 다르게 선택해야 한다.
증상에 따른 소화제 선택하기
소화효소제 -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훼스탈과 베아제가 있다. 음식물 분해와 영양분 흡수를 도와주는 효소로 육류 위주,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이 있을 때 효과적이다. 소화효소제에는 대표적으로 판크레아틴이라는 효소가 들어있다. 이 효소는 인체의 소화 효소와 비슷한 돼지나 소의 췌장 효소를 정제한 것이다.
위장운동조정제 - 과식을 하지 않고 적정량의 식사를 했음에도 소화 불량 증상이 있다면 위장 운동 조정제가 효과적이다. 위장 운동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거나 위장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트리메부틴이라는 성분을 가진 베부틴이 대표적인 제품이다. 트리메부틴은 엔케팔린이라는 수용체에 결합해 위장 운동이 심할 때에는 억제를, 위장 운동이 저하될 때에는 촉진 작용을 일으켜 위장 기능을 정상화되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
가스제거제 - 가스가 많이 차거나 복부팽만감이 느껴질 때에는 가스제거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음식이 소화될 때에는 자연스럽게 가스가 생기기 마련인데 대부분은 트름이나 방귀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몸에 방울 상태로 남게 된다. 가스제거제를 섭취 시 몸속에 남아 있는 가스를 배출시켜 소화가 원활하게 되도록 돕는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까스앤프리가 있다.
생약 액제 소화제 - 가스활명수나 베나치오가 이에 해당된다. 위장 운동과 위산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생약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 효소는 들어있지 않다. 고추나 탄산과 같은 자극적인 생약을 포함한 제품으로 빠른 효과를 느낄 수 있지만 위염이 있는 환자라면 위장이 자극될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트림이 유발 돼 위산이 역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을 수 있다.
소화제의 부작용?
장기간 소화 효소를 복용할 경우 몸에서 소화 효소를 만들어 내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소화 효소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소화가 되지 않아 또 소화제를 찾게 되고 소화 기능은 더 떨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화 효소제를 자주 먹는건 위험할 수 있다. 자주 소화가 안되거나 소화 기능이 많이 떨어졌다고 느껴질 때에는 병원을 내원해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와 건망증의 차이, 치매의 원인과 예방 방법 (0) | 2023.05.07 |
---|---|
외로움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 극복하기 (1) | 2023.05.07 |
완경이행기, 폐경의 초기 증상 전조 증상에는 어떤 게 있을까? (0) | 2023.05.06 |
불멍, 물멍 멍때리기의 의외의 효과 (0) | 2023.05.05 |
이하선염, 볼거리 원인과 증상, 전염률은 얼마나 높을까? (0) | 2023.05.05 |
댓글